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종신 보험으로 노후 대비를 할 수 있다고? 노후 자금 어떻게 마련할까?

by 공부할래 2022. 11. 23.

'종신보험'이라고 하면 남은 가족의 생활비를 위해 가입하는, 사망보험금으로 많이들 알고 계시죠. 종신보험은 노후 대비를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됩니다. 그 이유를 말씀드릴게요.

개인연금 대신 종신보험?

보험설계사가 가장 많이 가입한 보험은 뭘까요? 바로 '종신보험'입니다. 보험설계사들은 사망보험금뿐만 아니라  노후 대비를 위해서도 종신보험을 택하곤 하는데요. 그 이유가 뭘까요?

프리랜서에 속하는 보험설계사는 4대 보험을 적용받지 않아, 세제적격 개인연금에 가입해도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 반면, 종신보험은 사망보험금 재원으로 쓰거나 연금 전환으로 노후 자금으로 쓸 수 있습니다. 요즘 프리랜서로 근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!

종신보험을 연금으로?

종신보험은 '연금전환'이나 '연금선지급'을 통해 노후자금으로 쓸 수 있습니다. 연금전환과 연금선지급의 차이는 뭘까요?

연금전환

내가 가입한 종신보험을 연금보험으로 바꾸는 개념이에요. 전환을 원하는 시기의 적립금을 가지고 연금보험에 새로 가입을 하는 거예요. 보험의 종류가 바뀌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연금소득세를 내야합니다. 연금보험으로 전환 후 연금을 받다가 사망할 경우, 남아있는 적립금만 돌려받을 수 있고요.

연금선지급

사망보장을 위한 종신보험의 적립액을 연금으로 먼저 지급받는 것을 말해요. 보험의 종류가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금소득세를 과세하지 않고요. 즉 연금선지급은 비과세로, 연금선지급으로 연금을 받을 때는 아무런 과세가 되지 않습니다. 계약자의 적립금만 돌려주는 연금보험과는 달리, 연금선지급 방식을 이용하면 종신보험의 남은 사망보험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같은 보험료를 내더라도 더 효율적인 면이 있습니다

종신보험은 복리이자?

내가 낸 모든 보험료에 이자가 붙는 게 아님을 아셔야 해요. 납부한 보험료에서 '위험보험료'와 '사업비' 등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에 대해 이자가 적용되는 방식입니다. 해서, 복리 효과를 실감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. 완납 후 실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. 그래서 단기간 저축을 목적으로 종신보험에 가입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. 통상 납부 기간이 5년에서 30년인 것을 고려하면 꽤 오랜 기간을 유지해야 복리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. 

노후 자금 어떻게 마련할까?

근로자라면, 세액공제가 가능한 아래 세 가지를 적절히 분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
 

-연금저축보험 

 

연말정산? 연금저축? 올웨더 전략! 쉽게 한번에 정리해 드려요

연말정산? '1년 동안 내가 낸 세금'과 '내가 내야 할 세금'을 비교해서 정산하는 과정을 말하죠. 연말정산에서 절세 혜택을 누리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개념이 있다면? '연금저축'입니다. 개인연금

1.snailmarket.co.kr

-비과세종신보험

-적금

연금저축보험은 최소 금액으로 가입하되, 분기별로 받는 보너스나 추가로 생기는 여유자금은 세액공제 한도금액까지 연금저축보험에 추가납입해 보세요.

 

 

세액공제와 저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셈이 됩니다.   

보험 가입에서 중요한 것

기나긴 장기 계획을 가지고 가입해야 합니다. 중간에 해지하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.

매달 감당할 수 있는 금액으로 유지하는 게 가입보다 중요합니다.

 

 

반응형

댓글